2016년 10월 4일 화요일

5강 os

하벤더의 교착 상태 예방 연구에서 기본 전제가 되는것은?
: 상호 배제 문제는 고려하여 프로세스가 원하는 자원을 배타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제외한다.

점유과 대기 조건의 방지 방법과 문제점은?
:프로세스가 작업을 수행하기전에 필요한 자원을 모두 요청하고 획득해야하며 대기상태에서 프로세스가 자원을 점유하지 않아야한다. 또한 필요한 자원을 실행 후 다른 호출에 자원을 할당 하는 것이다. 하지만 자원 효율성이 너무 떨어지며 기아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자원 할당 그래프에 대한 물음에 답하시오.



  1. 시스템은 교착 상태에 있는가: 교착상태에 있다.
  2. p2자원에 p1요청을 먼저 제공 할 때 시스템 상태는 안전한가: 안전하지 않다
  3. p2자원에 p2요청을 먼저 제공할 때 시스템 상태는?:안전하다
교착 상태를 회복하는 해결 방법을 간단히 설명 하시오.
:첫번째 방법은 프로세스를 한개 이상 중단 하는 방법으로 정지된 프로세스에 할당된 모든 자원의 해제를 요청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교착상태의 프로세스들에서 자원을 선점하는 방법이다. 이것은 교착 상태가 해결될때까지 선점한 자원을 다른 프로세스에 할 당해야한다.

교착 상태를 벗어나려고 중단(종료)시킬 프로세스를 선정할 때 고려할 기준을 나열하시오,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수행된 시간과 앞으로 종료하는데 필요한 시간, 사용한 자원 형태와 수, 종료하는데 필요한 자원 수, 종료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스 수, 대화식인지 일괄식인지 여부.

컴퓨터 시스템 환경과 관련 되지 않은 교착 상태의 실례를 세 가지만 들어보시오.
: 원수가 왜다리에서 만날때, 지하철 사람 많을때 서로 나가고 들어가려고 할때.

  

하벤더의 교착 상태를 예방하는 세 가지의 기본 방법은?
:첫번째는 각 프로세스는 필요한 자원을 한번에 모두 요청하며 모두 제공 받기전까지 작업 진행을 하지 않는다 이며 두번쨰는 점유하고 있는 프로세스의 요청을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면 점유한 자원을 모두반납하고 필요할 때 다시 요청한다. 마지막은 프로세스에 자원을 유형별로 순서를 부여한 후 순서대로 할당해야 한다. 

교착상태와 기아 상태의 주요 차이점은?
:교착 상태는 일어날수 없는 상태라면 기아상태는 딜레이로 현재는 일어나지 못하지만 언젠가는 일어날 상태이다.

시스템 상태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할때 은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프로세스
Allocation
Max
Available
ABCD
ABC
ABCD
P0
3011
5111
1020
P1
0100
0212
 
P2
1110
4210
 
P3
1101
1111
 
P4
0000
2110
 

  1. 배열 need의 내용은?

    A
    B
    C
    D
    P0
    2
    1
    0
    0
    P1
    0
    1
    1
    2
    P2
    3
    1
    0
    0
    P3
    0
    0
    1
    0
    P4
    2
    1
    1
    0
  2. 이 시스템은 안정 상태인가?  P3->P0->P1->P4->P2
  3. 프로세스 p1에서 요청이 (0,4,2,0)이면 이 요청은 즉각 받아 들여질 수 있는가?             받아들여진다.
프로세스 2개와 자원 2개가 교착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자원 할당 그래프를 그리시오
:



경쟁 상태와 교착 상태의 차이점은?
:교착 상태가 자원을 자유롭게 할당한 자원 부족의 결과라면 기아 상태는 교착상태를 예방하려고 자원을 할당 할 떄 발행하는 결과이다.

자원 할당 그래프에 주기가 있는 시스템을 가정한다. 이떄 교착 상태라고 정의(단정)할 수 있는가?
:프로세스에 제공되는 자원과 공급자원에 대해 알수 없는 상태에서 단정 할 수 없는게 작동을 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그래프에 있는 주기가 너무 많은 프로세스를 거치다 보면 딜레이가 생기기 마련이다. 그렇지만 그 그래프의 끝이 작업할 프로세스라면 언젠가는 작업하기 마련이니 기아 상태일수 있고 교착 상태일수도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